【강릉=취재】 강릉시가 8월 20일부터 가정용 계량기를 절반 수준으로 잠그는 ‘50% 제한급수’에 돌입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강릉시지역위원회가 21일 성명을 내고 “김홍규 강릉시장은 가뭄만 탓할 것이 아니라 시민에게 사과하고 근본대책을 제시하라”고 비판했다.
강릉시는 주 상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이 21.8%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자(8월 19일 기준), 시내 대부분이 포함된 홍제정수장 급수권 18만여 명을 대상으로 제한급수를 시행했다. 시는 “전대미문의 재난 상황”이라며 시민들에게 생활용수 20% 이상 절수를 호소했다.
민주당 강릉시위는 성명에서 “강원 전역이 비가 적었지만 강릉만 유독 제한급수를 시행하고 있다”며 “가뭄 탓만 할 일이 아니라 인재(人災)로 비화하지 않도록 시가 책임 있게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향후 25일간 비가 오지 않으면 75%로 제한을 늘릴 수 있다”는 시의 경고가 시민 불안만 키운다고 비판했다.
비교 사례로는 인접한 속초시가 언급됐다. 성명은 “속초시는 지하댐과 암반관정 확충, 상수도 현대화로 물 부족을 크게 덜었다”며, 평시 제1 지하댐에서 하루 4만1,000톤을 취수하고, 갈수기에는 제2 지하댐 7,000톤과 암반관정 20곳 2만3,300톤을 추가로 확보하는 체계를 갖췄다고 했다. 실제로 속초시는 2021년 제2 지하댐(지하 26m, 길이 1.1km, 높이 7.7m)을 준공해 약 63만 톤의 저장 능력을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강릉시에 생수 3만 병을 지원했다.
민주당 강릉시위는 “지난 3년간 시정이 기본적인 물 관리조차 챙기지 못했다”며 “경포호 인공분수 등 보여주기식 사업에만 매달렸다”고 지적했다. 또 강릉시가 임시 양수장을 통해 농업용수를 생활용수로 전환하려는 방침에 대해서도 “아랫돌 빼 윗돌 괴기식 처방”이라며 농민 피해 우려를 제기했다.
아울러 “물 부족의 최대 피해자는 농민이었고, 이제 자영업과 시민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시장 사과 ▲중앙정부와의 즉각 협의 ▲지역 전문가·농민·자영업자 등이 참여하는 ‘물 부족 대책위원회’ 구성을 요구했다.
한편 강릉시는 “저수율이 10%대로 더 하락할 수 있다”며 비상 절수의 불가피성을 거듭 호소했다. 시 상하수도사업소는 “수도 사용 시 수량이 줄 수밖에 없다”며 시민 협조를 요청했다.
이번 성명은 8월 21일자로 발표됐다. 강릉시가 추가 대책을 내놓을지, 그리고 여야·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물 대책’ 협의체가 가동될지 주목된다.
한국소통투데이 양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