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박희준 특별칼럼] 임산부의 날, 한ㆍ일 양국의 저출산 현황과 미래 전망
저출산 문제는 한국과 일본 모두가 직면한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두 나라는 빠른 고령화와 경제 성장 둔화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 문제는 장기적인 국가 생존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양국 모두 10월 10일을 '임산부의 날(姙産婦の日)'로 지정하여 임신과 출산 후 여성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날을 계기로 저출산 문제를 되짚어 보고, 이에 대한 냉철한 경고의 목소리를 더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ㆍ일 양국의 저출산 현황을 비교하며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의 저출산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합계출산율은 0.7명대 수준입니다. 이는 세계 평균 출산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저출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줍니다. 다양한 정책들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거 문제, 고용 불안정, 육아 부담, 사교육비 지출 등이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교육비와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은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만드는 주요 요인임이 분명합니다. 일본의 저출산 문제도 마찬가지로 출산율 저하와 함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합계출산
- 박희준, (사)한국출산장려협회 창설자 겸 이사장, 생활밀착형 인구전략가/인구학박사 기자
- 2024-10-10 0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