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10월 21일, ‘인천 공공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IC1)’ 지정 신청서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공식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해상풍력 단지는 옹진군 백아도 남서쪽 약 22km 해상에 위치해 있으며, 총 1GW 규모로 조성될 계획이다.
사업계획에는 사업의 실시 능력, 전력계통 확보계획, 주민수용성과 환경성 확보 방안, 이익공유 및 산업 생태계 강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사업은 2022년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공공주도 적합입지 발굴사업과 단지개발 지원사업을 연계하여 추진 중이며, ‘대한민국 대표 공공주도 계획입지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인천시는 이번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을 위해 주민 수용성 확보에 힘써왔다. 이를 위해 사전협의, 찾아가는 숙의경청회, 주민설명회, 민관협의회 등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지난 5년간 약 1,650명의 이해관계자와 소통해 왔다. 그 결과, 지난 9월 24일 열린 제7차 인천 해상풍력 민관협의회에서 사업계획안이 원안대로 가결되며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얻었다.
제출된 사업계획은 앞으로 한국에너지공단의 평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를 거쳐, 내년 3월 이전에 최종 지정 여부가 확정될 예정이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인천시는 사업자 선정 방안을 마련하고, 지역 산업과 연계한 상생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지에서 발생하는 추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수익을 활용해 어업인과 주민 등 지역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 상생사업도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천시는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재생에너지 중심 도시로 도약하는 기반을 본격적으로 다질 계획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지정 신청이 어업인과 지역주민의 높은 기후 감수성과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어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에 맞춰 재생에너지 확대와 보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과 상생·공존 방안을 적극 모색해 공공이 주도하고 지역이 함께하는 해상풍력 추진체계를 완성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