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실버천사봉사단 제주지사 현판식·해양정화 동시 진행… 잠수·해안 플로깅으로 바다와 육지 ‘투트랙’ 정화작전

“청정 제주, 우리가 지킨다”

한국실버천사봉사단이 제주지사 사무실 현판을 내걸고 본격적인 제주 활동에 시동을 걸었다. 현판식에는 한국실버봉사단 제주지사 관계자들과 함께 육광남 회장과 회원들이 참석해 제주 환경보전의 새 거점을 알렸다. 행사 직후 봉사단은 곧바로 바다와 해안을 가르는 ‘투트랙’ 정화 활동으로 실천을 이어가 눈길을 끌었다.

 

첫 번째 전선은 제주시 제주항 일원 탑동공원 서부두. 스킨스쿠버로 구성된 실버천사봉사단 잠수팀이 수중으로 들어가 폐어망, 로프 잔해, 생활 쓰레기 등을 수거하며 항만 저층부를 훑었다. 수면 위에선 안전 관리와 분류, 적치가 동시에 이뤄져 수거 효율을 높였다. 봉사단은 “수중폐기물은 바다 생태계뿐 아니라 어업과 관광 안전까지 위협한다”며 정기적인 수중 케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전선은 안덕면 사계리 형제 해안로. 해안으로 밀려든 페트병과 부표 조각, 스티로폼 파편을 봉사단 플로깅 팀이 분류 수거했다. 특히 너울성 파도가 남기고 간 잔해가 바람에 재비산되지 않도록 마대 포대에 밀봉해 반출하는 등 해안 관리의 기본을 꼼꼼히 지켰다.

 

이번 활동에는 지역 민간단체와의 협력도 빛났다. 수운교청정봉사단이 해안 정화에 힘을 보탰고, 현장 사진도 제공했다. (사진 제공=수운교청정봉사단 김옥산 회장) 봉사단들은 “기관 중심의 단속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민·민 협업을 넓혀야 한다”며 “제주의 바다는 모두의 공공재”라고 입을 모았다.

 

육광남 한국실버천사봉사단 회장은 “현판 개소는 출발선일 뿐”이라며 “수중과 연안을 연결하는 생활형 정화 모델을 제주에서 표준화해 다른 해안 도시로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노년 세대의 경험과 책임성을 지역 청년, 다이버 커뮤니티와 연결하면 지속 가능한 시민 환경안전망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봉사단은 앞으로 ▲분기별 수중 정화 정례화 ▲태풍·집중호우 이후 해안 신속 수거 체계 ▲해양 쓰레기 발생원 추적 및 교육 캠페인 ▲관광객 대상 ‘떠난 자리 점검’ 참여 프로그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탑동공원~제주항 일대와 안덕면 서남 해안을 축으로 계절별(성수기·비성수기) 배출 패턴을 기록해 데이터 기반의 정화 일정을 세운다는 방침이다.

 

현판식으로 거점을 확보한 한국실버천사봉사단 제주지사는 “청정 제주”의 이름값을 지키기 위해 바다 속과 해변, 둘 다 놓치지 않는 현장형 봉사로 섬의 일상을 돌보고 있다. ‘보이는 쓰레기’와 ‘보이지 않는 쓰레기’를 동시에 다루는 이들의 발걸음이, 제주 환경보전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소통투데이 김동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