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는 행복할 권리가 있다” 인천시,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발표

프리:패스 인권센터 성과보고… 인천, 복지현장 인권 모델 만든다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시사회서비스원(원장 황흥구)은 최근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프리:패스 인권센터를 중심으로’ 최종보고를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프리:패스 인권센터’는 2019년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시작된 사회복지종사자 위기 대응 역량 강화 사업이다.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가 운영을 맡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인천시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법률·노무 지원인 ‘프리:패스 법률&노무’, 심리 회복을 위한 ‘프리:패스 회복지원’, 안전 체계 구축, 찾아가는 교육, 컨설팅, 인권기반 리더십 교육 등이 있다.

 

이번 연구는 센터의 주요 성과로 현장 요구의 충실한 반영, 안전·권익·법률·노무 등 다양한 현장 어려움의 확인, 지속 가능한 재정지원 체계 마련, 관련 조례 제정,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에 대한 인식 변화를 꼽았다. 실제로 지난해까지 법률·노무 상담은 305건이 이뤄졌고, ‘찾아가는 프리:패스 교육’은 총 107회 실시되었다. 직무 외상 등을 경험한 종사자를 위한 심리상담 사업인 ‘프리:패스 회복지원’에는 157명이 참여했으며, 인권 기반 리더십 교육에는 202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인권 교육은 2020년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제정한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보호와 건강한 사회복지현장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에서는 권익지원사업의 발전방안으로 프리:패스 인권센터의 재구조화를 제안했다. 그 방향은 지역 사회복지사협회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사업에 집중하고, 사업의 수요와 효과성을 기준으로 조정하며, 전체 사업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새로운 국정과제 기조에 발맞춰,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설치를 장기 과제로 제시했다. 권익지원센터는 시설 내부에서 해결이 어려운 인권·권익침해 사안에 대응하고, 종사자 권익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하며, 건강한 사회복지 조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종사자의 인권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도 맡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준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장은 “사회복지종사자가 행복해야 시민도 행복하다”며 “권익지원사업을 더욱 활성화해 시민이 행복한 복지도시 인천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권익지원센터로의 전환을 목표로, 현장의 요구와 필요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의하고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맡은 김지영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장은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조례를 제정하고, 권익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전국적인 모범사례를 만들었다”며 “이번 연구가 그 성과를 널리 알리고, 모든 종사자가 존중받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