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8월 14일까지 예보된 집중호우에 대비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인명 피해 예방을 위한 비상 대응체제에 돌입했다. 최근 국지성 호우와 돌발성 강우가 잦아지면서, 재난에 대한 사후 대응보다 선제적인 조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시는 하천, 지하차도, 산사태 위험지역, 옹벽 등 인명 피해 우려가 큰 취약 시설에 대한 사전 통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예방 조치를 추진 중이다. 특히 상습 침수지역과 반지하주택 밀집 지역, 인명피해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6~7월 침수 피해가 있었던 지역에 대해서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 현장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기상청은 8월 13일 오전부터 14일 새벽까지 강한 비가 집중될 것으로 예보했으며, 이에 따라 인천시는 13일 오후 4시 15분부터 하천변 산책로 12곳을 포함한 침수 위험지역에 대한 통제를 시행했다.
군·구에서는 긴급재난문자, 마을 방송, 민방위 경보시설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주민에게 상황을 신속히 전달하고 대피를 유도할 계획이다. 여름휴가철을 맞아 야영장과 펜션 등 행락지의 안전 관리도 강화하고 있으며, 계곡 등 위험지역 인근 숙박 및 야영시설에 대한 출입 통제와 대피 안내를 병행하고 있다. 현장 점검도 병행하며 실효성 있는 조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인천시는 이번 호우 대응의 기본 원칙으로 ‘선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재난 대응의 최우선은 예방이라는 인식을 전 부서와 공유하고 있으며, ‘예방이 곧 생명 보호’라는 원칙 아래 현장 대응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윤백진 인천시 시민안전본부장은 산사태 우려지역과 상습 침수지역, 그리고 지난 6~7월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철저한 예찰과 통제를 통해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