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복혜민 기자 | 광명시가 광명시흥 3기 신도시를 본격적으로 조성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한다. 박승원 시장은 9일 신년 언론 브리핑에서 “광명시는 경제중심도시, 녹색도시, 탄소저감도시를 목표로 시민이 바라는 도시를 주도적으로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광명시흥 지구는 광명시와 시흥시 일원 1,271만㎡ 부지에 총 6만 7천 호의 주택을 공급하며, 이는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시는 시민이 바라는 안정적 주거와 쾌적한 환경을 갖춘 도시로 거듭날 것”이라며 “시가 주도적으로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가 제시한 신년 청사진은 다음과 같다.
경제중심도시: 판교 테크노밸리 3배 자족용지 확보
135만㎡ 규모의 자족용지가 확보돼, 글로벌 기업 유치 및 미래 신산업 육성에 중점을 둔다. 고밀·복합 개발을 통해 혁신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을 목표로 한다.
녹색도시: 올림픽공원 3배 규모 공원 조성
신도시 부지의 35%에 달하는 445만㎡가 공원녹지로 조성된다. 목감천을 중심으로 친수공원과 덮개공원을 마련해 15분 생활권 도시를 실현한다.
탄소저감도시: 첨단 기술로 초연결 도시 구현
모빌리티 특화 공모사업을 통해 자율주행 인프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첨단 기술 기반의 탄소저감도시로 조성된다.
교통망 확충: 사통팔달 도시로 변모
서울 방면 직결도로 4개 신설, 6개 도로 확장 등 교통체계를 강화하며, 신안산선, 월곶판교선, GTX-D·G 등 철도 인프라를 대폭 확대해 신도시 내 지하철역을 15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박 시장은 교통 문제와 미래 산업 기업 유치를 주요 현안들로 꼽으며 "모두가 협력해서 이 사업들이 차질 없이 갈 수 있게끔 하는 것이 3기 신도시와 관련해서 최대 목표"라는 포부를 밝혔다.
또 “광명의 미래는 시민이 결정한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모두가 바라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전했다.